티스토리 뷰
실제로 하늘의 별은 고정돼 있지만, 북극성을 포함한 모든 별은 지구의 자전축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는 운동을 하게 돼요(지구의 자전축은 천구의 북극을 가리키는데, 사실 북극성은 천구의 북극에서 1° 정도 떨어져 있어요.). 지구가 매일 한 바퀴씩 돌기 때문이에요. 하늘 전체에는 모두 88개의 별자리가 있는데, 이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잘 볼 수 있는 별자리는 60개 정도랍니다. 이 중에서 북극성 주변에 있는 작은곰자리, 큰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등은 북쪽 하늘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볼 수 있지요.
북쪽 하늘의 모든 별은 시간에 따라 북극성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여요.
북극성은 항상 북쪽 하늘의 일정한 위치에 떠 있어서 북쪽 방향을 알려 주는 별이지요. 그래서 옛날 사람들도 넓은 바다를 항해할 때 북극성을 찾아 방향을 파악했어요. 예를 들어 산속에서 길을 잃었을 때 북극성을 찾으면 나침반 없이 동서남북 방향을 알아낼 수 있답니다. 북극성은 방향을 알려 주는 길잡이인 셈이에요.
지구를 중심으로 둥글게 보이는 밤하늘을 천구라고 하고, 지구의 자전축을 북쪽으로 연장해서 천구와 만나는 점을 천구의 북극이라고 해요.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태양의구성
- 토성의위성
- 북극성의 위치와 찾는방법
- 목성
- 행성상성운
- 우주쓰레기
- 북쪽 하늘의 별자리
- 우주의빅뱅
- 초신성
- 지구형행성
- 태양의 흑점
- 달의 표면
- 토성의 고리
- 해왕성의구성
- 전파은하
- 지구의자전
- 지구의 위성 달
- 우주정거장
- 무인비행기
- 기후변화
- 우주론
- 암흑에너지
- 우주의나이
- 별자리구성
- 행성구조
- 안드로메다은하
- 성간물질
- 삭망월
- 플라스마
- 태양의흑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