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쓰레기 추적하는 장치
인공위성 정의 일반적으로 지구 궤도를 돌지만 이용할 수 없는 모든 인공 물체를 말한다(그림 1 참조). 1957년 10월 4일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Sputnik 1)가 발사된 이래 전세계에서 수많은 인공위성들이 우주를 향했다. 우주쓰레기는 이 과정에서 발생한, 작동하지 않는 인공위성, 로켓 본체나 로켓에서 분리된 페어링과 부스터, 부서진 우주선의 파편, 우주 비행사가 작업 도중 떨어트린 공구나 부품 등이다. 2003년 7월 현재, 레이더로 추적이 가능한 큰(크기가 10cm 이상) 물체는 약 29,000개, 지름이 1cm에서 10cm정도인 물체는 약 670,000개, 그리고 1cm보다 작은 파편들은 거의 1억7천만 개 이상에 이르는 것으로 추측된다. 우주탐사선과 인공위성이 수명이 다하거나..
카테고리 없음
2021. 8. 6. 13:4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달의 표면
- 성간물질
- 지구의 위성 달
- 플라스마
- 북쪽 하늘의 별자리
- 삭망월
- 안드로메다은하
- 목성
- 우주의빅뱅
- 토성의위성
- 암흑에너지
- 지구의자전
- 기후변화
- 우주쓰레기
- 전파은하
- 우주론
- 태양의흑점
- 해왕성의구성
- 행성상성운
- 북극성의 위치와 찾는방법
- 토성의 고리
- 우주정거장
- 태양의 흑점
- 별자리구성
- 우주의나이
- 지구형행성
- 행성구조
- 초신성
- 무인비행기
- 태양의구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